다음은 당신이 요청한 야후 파이낸스 기사 내용을, 대한민국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블로그 스타일로 재해석한 콘텐츠입니다. ‘선대인 마니아와 강남토박이’ 블로그의 스타일을 반영해 삽입형 에세이 형식으로 작성되었으며, 사례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당신의 ETF, 대출이 들어갔습니다
이것은 금융 상품에 관한 ‘요즘 시대’의 관전평이다.
‘관전평’이라는 단어가 적절한 이유는,
우리가 직접 뛰는 플레이어라기보다는,
자산관리사의 조언이나 유튜브 투자 콘텐츠를 보며
‘오,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참고만 하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판에서 자산관리를 ‘구경만’ 하다간,
재테크 시대의 ‘영원한 관람객’이 될 수도 있다.
# ETF의 머릿속에 대출을 넣다
요즘 미국에서는 생뚱맞은 조합이 유행이다.
‘ETF + 사모 대출’
말이 좀 어색하다 싶지만,
한마디로 “은행이 돈 빌려주는 거 보고 너도 같이 돈 벌어라”는 얘기다.
원래 ETF는 많은 투자자들이 ‘분산 투자의 꽃’이라며 입문용으로 활용하던, 주식이나 채권 같이 공개된 상품들에 투자하는 구조다. 그런데 여기에 '비공개 시장'의 상품들까지 집어넣는 시도가 미국에서 활발하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와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이 함께 출시한 SPDR SSGA Public & Private Credit ETF다.
이 ETF 안에는 ‘사모 대출’, 그러니까 일반 투자자는 문턱도 넘기 힘든,
고급 투자처가 일부 담겨 있다.
# 사모대출? 나 같은 소시민이?
여기서 잠깐.
‘사모 대출’이 도대체 뭔가?
쉽게 말하면, 일반 기업이나 개인이 은행을 통하지 않고
사모펀드나 대체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구조다.
이 구조의 매력은 이자율이 높고, 담보도 탄탄한 경우가 많다.
은행보다 ‘조건이 더 빠르지만 수익률은 높을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한다.
그런데,
우리가 그동안 접근 못 했던 이유는 너무 명확하다.
① 최소 수억에서 수십억 단위로 투자해야 했고
② 유동성은 거의 없어서 3년 이상 자금이 묶인다
③ 중도해지도 어렵다. 즉, 일단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
말하자면, ‘부자 전용 클럽의 룰’이었다.
그런데 이 매력적인 시장을,
ETF 같은 ‘평민형 그릇’에 담기 시작한 것이다.
# 대출 ETF, 오히려 리스크?
미국 내에서도 이 추세는 꽤 뜨겁다.
벤가드, 블랙스톤, KKR 같은 굵직한 자산운용사들이 빠르게 뒤따라 합류하고 있다.
하지만 이 새로운 상품에 대해 전문가들은
또 한 가지의 진실을 지적한다.
“유동성과 사모대출은 공존 불가다.”
ETF란 기본적으로 ‘바로 팔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사모대출은 ‘팔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즉, 근본적으로 구조가 충돌하는 셈이다.
운용사들은 이 두 가지를 ‘접목’하고 싶어 하지만,
이게 마치 수영과 불을 섞으려는 느낌마저 든다.
돈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 움직이기 어려운 투자처를 넣는 것.
‘짐 싸서 언제든 탈출할 수 있게 해줄게’ 하면서,
정작 그 짐은 3년간 빼서 못 드는 구조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상품들이 가진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과는 별개로,
실제 투자(Private Credit ETF)의 유입은 아직 미미하다.
미국 전역에서 해당 ETF에 몰린 자금은 불과 5470만 달러.
그나마도 전문가들은 “냉정히 보면, 높은 수수료가 발목 잡았을 것”이라고 평한다.
# 한국에서의 시사점
우리는 아직 이런 ETF를 직접 구매하긴 어렵다.
한국거래소나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미국처럼 ‘사모상품’을 개인 대상으로 포장하는 데 발을 들이진 못했다.
하지만 이 흐름은 다른 방식으로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P2P 투자, 플랫폼 기반의 개인 간 대출,
중소기업 대출을 모아 투자하는 ‘대체투자 펀드’ 등이 비슷한 구조다.
“은행 대신 네가 돈 빌려주고 이자 받아라”
“그 대신, 언제 내 돈 다시 찾을지는 모른다”
결국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한 투자 방식이다.
예전에 카카오페이와 같은 플랫폼이 빠르게 이름을 알리며 P2P 상품을 띄웠지만,
몇몇 부실 대출 건으로 한순간에 신뢰도가 떨어졌다.
한마디로, 남들이 안 가는 길엔 수익도 있지만 ‘지뢰’도 있다.
# 문 닫히기 전, 준비할 자세
이제는 고액 자산가만 할 수 있는 투자의 필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평범한 직장인도, 앉은 자리에서 몇 번 클릭으로 ‘이자장사’에 동참할 수 있는 구조.
하지만… 딱 그만큼 위험하다.
‘판단력 없는 기회’는, ‘벼락거지’ 직행 티켓일 수도 있다.
실제로 내가 아는 모 지인은
ETF에 빠져든 나머지 "이건 채권인데, 그냥 파킹하는 거야" 하면서
자산의 절반을 고정형 사모대출 상품에 넣었다가,
갑작스러운 집 계약금 마련에 한참을 애먹었다.
“팔 수 없는 상품은, 그냥 없는 돈이다”
이건 아무리 쿨한 투자자라도 절대 잊어서는 안 되는 진리다.
📌 요약 정리:
- 미국은 ETF에 ‘사모대출’을 담아 판매 중
- 더 높은 수익률을 노리지만, 구조상 리스크도 큼
- 한국에서도 P2P, 대체투자 구조로 유사 흐름 존재
- 유동성, 수수료, 시장 침체 상황까지 꼭 검토 필요
💬 여러분의 의견은?
혹시 이런 ‘비전통적 ETF’ 형태의 투자 상품에 관심 가져보셨나요?
혹은 고수익만 보고 들어갔다가 고생한 경험 있으신가요?
댓글로 나눠주세요.
단 하나의 경험이 또 다른 투자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ETF #사모대출 #대체투자 #수익률과리스크 #투자주의보
📝 작성: 대한민국 개인재무/블로그 전략가
📌 인스타/Tistory/브런치에서 <돈버는 눈> 시리즈 연재 중
👀 구독자들 요청으로 '신상 투자 트렌드' 시리즈 론칭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