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자산을 지켜내는 법 — 정권과 정책에 흔들리는 세대의 재테크 인사이트

목차 바로가기
이 글은 은퇴 준비 세대, 혹은 은퇴에 들어선 이들을 위한 재테크 단상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트럼프 관세’와 ‘사회보장제도(Social Security)’를 둘러싼 미국의 최근 논란을 한국 자산가시대의 시각으로 옮겨본 해석이라고 보면 좋겠다.
물론, 자료로 참조한 분석은 포춘(Fortune)의 기사지만, 이 글은 그보다 더 감정에 가깝다.

‘나의 은퇴, 남의 정권’에 흔들리는 세대

“트럼프가 연금 건드리면 살 수가 없다.”
이 말은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 중 한 사람이 내뱉은, 정책에 대한 가장 날것의 반응이었다.

미국처럼 개인 연금과 주식이 주요 노후 수단인 나라에서는, 정부의 정책과 관세 한 방이 곧 나의 월생활비를 좌우한다.
이번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Trump Tariffs) 선언은, 주식시장에 일시적인 폭풍을 몰고 왔고, 그 여파는 고스란히 은퇴자 계좌에 꽂혔다.

그들의 문장은 간단하다.
“연금 줄어들면 집도 못 내놓는다.”
“내 IRA 펀드가 오늘 또 떨어졌다.”

이쯤 되면, 은퇴자 관점에서 국가는 곧 사주와 같다.
“누가 되냐에 따라 내 재산이 증발한다면, 그건 국가가 아니라 투자기업이다.”

한국의 ‘강남 부모’도 공감할 이야기

사실 이 이야기를 보며 딱 떠오른 우리나라의 풍경이 있다.
강남에서 은퇴를 맞은 부모 세대다.

70~80년대 서울 개발 시대에 어떻게 잘 풀려 강남 아파트를 하나쯤 구입했던 분들.
지금은 그 집이 20억, 아니 그 이상도 될 수 있다.
강남 전설은 보통 이렇게 시작된다.

그런데 은퇴를 맞은 현재, 자식 둘에게 집을 분산해서 해주려 하면 어떻게 될까?
예, 그 집을 파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강남의 삶은 거기서 끝난다.

팔고 증여하면:
▶ 증여세로 퇴직금을 절반이상 날리고
▶ 당장 본인들도 갈 곳이 마땅치 않으며
▶ 자식에게 주고도 ‘부모로서의 지위’까지 내려놓는 기분을 받는다

그러니 대부분은 ‘사는 전세’, ‘기다리는 집값 조정’이라는 선택지로 돌아온다.

관세나 집값이나 '움직일 수 없는 리스크'

본질은 하나다.
미국처럼 관세 정책이 연금 시장을 갈아엎든,
한국처럼 부동산 규제/세금이 실거주자까지 옭죄든,
결국 은퇴 세대에게 중요한 건 ‘안정된 자산 흐름’이다.

그런데 그 안정이,
‘누가 대통령인가’, ‘어떤 정치 기조인가’,
즉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에 달려있다?

이건 리스크가 아니라 구조적 불안이다.

미국의 한 중산층 은퇴자는 포춘과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

“바이든 시절 연금은 올랐다. 트럼프땐 한 번에 -20%.
내가 주식을 잘못 골랐겠지만, 정부가 방향을 확 뒤엎는 건 반칙 아닌가?”

이 말을 어느 강남 부모님이 들었더라면, 아마 이렇게 반응했을 거다.
“맞아요. 지난 정부에선 세금만 줄었다니까요. 이젠 다 뜯겨요.”

애프터서비스 없는 정책은 '버려진 세대'만 만든다

미국 은퇴자들의 모습에서 안타까운 건, 단지 '눈치보기'가 아니다.
그들은 진지하게 불안하다.
정권마다 휘청이는 계좌,
세대마다 갈리는 연금 수급 액수,
그리고 점점 더 복잡해지는 금융상품.

거기에 정부는 애프터서비스가 없다.
“국가가 보장하긴 어렵습니다.”
라는 말은 곧 “알아서 하시라”로 들린다.

한국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청년한테도 절망을, 고령층한테도 버거움을 강요하는 이런 구조.
정책 방향 하나 바뀌면, 20억짜리 자산도 덫이 될 수 있다.

정권 바뀌며 양도세 비과세 기준이 싹 달라졌고,
10년 묵힌 집 한 채가 ‘투기’가 되기도 했다.

결국 은퇴자는 남은 삶을 ‘내려놓음’이 아니라, ‘지켜냄’의 싸움으로 맞는다.
이것이 ‘노후 리스크’의 본질이다.

시대가 만든 불안, 우리가 선택할 지혜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미국도, 한국도 답은 분명하다.

개별 가구, 즉 우리는 ‘외부 요인’을 항상 변수로 여겨야 한다.
정책은 내 편이 아니다.
정권은 위기관리자가 되지 않는다.

▶ 의존하지 말고,
▶ 분산해서 두고,
▶ 민감하게 움직여야 한다.

왠지 거창할 것 같지만, 단순한 실천이 중요하다.
⋆ 미국의 은퇴자는 IRA 등 연금 투자를 품종별로 최소 세 가지로 나눴다고 한다.
⋆ 서울 도곡동에 살던 지인은, 최근 ‘전원주택’ 지역으로 이사하고, 남은 차액으로 자녀에게 현금 증여를 준비 중이다.

모두가 부자가 될 수는 없지만,
본인의 불안을 줄이는 부동산과 자산 운용은 꽤 가능하다.

다만, 조건은 늘 같다.
‘국가에 기대지 않을 것.’
‘속도를 정책에 맡기지 않을 것.’

불안은 눈치가 빠르다

정책이 만든 불안은, 누구에게도 특별히 설명해주지 않는다.
그저 ‘느끼게’ 할 뿐.
나는 괜찮은가?
우리 세대는 산다는 감각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그 질문 앞에서,
미국의 중산층 은퇴자나,
서울 강남에 집 하나 가진 은퇴자나,

결국 똑같은 감정을 공유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부자라서 불안한 게 아니다.
내 손에 뭔가 있는데, 지키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불안하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