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60세, 401(k)에 130만 달러가 있다. 우리의 은퇴 예산은?
은퇴가 코앞으로 다가왔다면,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
바로 "앞으로 몇 년이나 남은 돈으로 살 수 있을까?"
오늘은 60세 부부가 은퇴를 앞두고 401(k) 계좌에 130만 달러를 보유한 상황을 가정하고,
이들이 매달 받을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 5,100달러와 함께 현실적인 은퇴 예산을 세우는 법을 이야기해보자.
💰 우리가 가지고 있는 돈
현재 이 부부는:
- 401(k) 잔액: 130만 달러
- 사회보장연금: 월 5,100달러(연 61,200달러)
즉, 확정적으로 들어오는 연금만 해도 1년에 6만 달러 이상!
여기에 401(k) 투자를 잘 운용하면 안정적인 노후가 가능할까?
🔍 인컴 플랜 세우기 (어떻게 돈을 쓰고 투자할 것인가)
사실 130만 달러가 많게 느껴지지만,
"몇 년 동안 이 돈을 유지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중요하다.
만약 이 돈을 어디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은퇴 후 생활 수준이 크게 차이 난다.
예를 들어:
- 모두 채권 투자 (연평균 수익률 4%) → 170만 달러
- 주식+채권 혼합 (연평균 수익률 8%) → 220만 달러
- 주식(S&P 500) 투자 (연평균 수익률 10%) → 250만 달러
즉, 안전한 투자를 원한다면 저위험 채권을 택할 수도 있지만,
조금 더 공격적으로 주식 투자하면 자산을 더 크게 늘릴 수 있다.
이 부부가 8% 수익률을 가정하고 220만 달러를 만들었다면,
4%씩 인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매년 88,000달러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사회보장연금까지 합하면 총 149,200달러(세전 기준).
현실적인 소비 가능 금액 💳
하지만 세금도 중요하다!
연금도 과세 대상이며, 401(k)에서 인출한 금액 모든 금액에 소득세 부과된다.
대략적으로 세금을 뗀 후 순수한 지출 가능 금액은 약 12만 달러 정도가 된다.
✂ 예상 지출과 관리 포인트
이제 남은 문제는 "이 돈을 어떻게 쓸까?"
즉, 예산을 무엇을 중심으로 짜야 하는가이다.
1️⃣ 주거 비용 🏡
- 은퇴 후 현재 거주지를 유지할지, 더 저렴한 지역으로 이사할지 고민이 필요하다.
- 모기지(주택 담보 대출)가 없는 경우 큰 부담은 없지만,
- 재산세와
- 주택 유지보수 비용
두 가지는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2️⃣ 의료비 💉
- 미국에서 은퇴 후 가장 큰 지출 항목은 의료비다.
- 메디케어(Medicare) 혜택을 받기전까지 의료보험료가 상당히 비쌀 수 있음.
- 장기 요양보험(Long-Term Care Insurance)** 도 고려 필수.
3️⃣ 생활비 💰
- 식비, 교통비, 여행 경비 등의 소비 패턴 고려
- 기본적인 생활이 연간 5~6만 달러 수준이라면, 여행 및 취미 지출까지 고려해서 예산 책정
✅ 결론: 은퇴 후에도 지속 가능한 생활을 위해
🔹 핵심 포인트
- 사회보장연금 + 401(k) 인출을 통한 연간 소비 금액 설정
- 세금을 감안하여 실제 사용 가능 금액 고민
- 주거비와 의료비 관리를 최우선으로 고려
- 투자를 통해 자산의 수명을 최대한 늘리는 전략 세우기
130만 달러의 401(k) 자산은 충분해 보이지만,
잘못된 투자 혹은 지출 계획으로 쉽게 바닥날 수 있다.
"얼마나 오래 살지 예측할 수 없고,
물가 상승도 지속되므로,
적어도 30년 이상 버틸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은퇴를 준비하는 당신, 지금 당장 핀테크 앱을 활용해 예산을 짜보자.
👉 그리고 재정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 당신의 은퇴 계획, 어디까지 준비되었나요? 👇💬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주세요! 🚀